본적: 충청남도 서편군 판교면 현암리 227
생년월일: 1938년9월30일 권영진 목사님과 김계순 사모님의 장남으로 출생
(조선조 영조 때 왕세자(정조)의 스승이었던 국포공권유씨의 7대손)
교 육
1975-1983 The Institute for Religious and social Studies (the Jewish Seminary of America부속연구기관)에서 연구 활동
1974-1984 New York University에서 Norlma Thompson, Lee A. Belford, Cyrus H, Gordon교수의 지도로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Resurection Faith in Early Judaism” 논문으로 PH.D. 학위를 받음
1973 팔레스타인 Tel el-Hesi에서 성서고고학 직접 발굴 및 연구
1972-1974 General Theological Seminary에서 수학, The Jewish Theological Seminary of America에서 수학
1964-1966 Francais Alliance에서 불어공부
1964 연세대학교 대학원 졸업(신학석사), 프린스톤 장학금 받음, The Rev. Dr. Charles. Groodwin의 지도로 “예수의 비유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의미” 연구. 신학석사(Th. M)학위를 받음
1962 한국신학대학 졸업(신학석사), 대한민국 국가 장학금 받음
외국어 공부
English, Deutch, Francaise, Greek, Hebrew, Latin, Aramaic, Ugaritic, Akkadian
목회 경력
1991 현재 기독교복음선교협의회 설립 [미주장로회 총회]로 개칭 총회장
1987 현재 부르크린 영생장로교회 설립 및 담임 목사
1976-1987 부르크린 제일교회 설립 및 담임 목사
1975-1976 뉴욕한인봉사센타 제2대 총무
1966-1971 해군 군목으로 입대하여 서울 해군병원, 진해 해군신병훈련소, 해군본부 군종감실 교도과장을 역임, 해군 참모총장상 및 인사참모부장 표창장 수령, 해군 대위로 제대
1960-1966 충남노회 구성교회, 홍산교회, 경기노회 내곡교회 전도사
교수 경력
2006 미주성결신학대학 및 대학원 교수
1998 가을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초빙 교수
1994-1999 뉴욕찬양신학 및 대학원 교수
1987-1990 New York Theological Seminary Adjunct Professor
1987년부터 뉴욕신학대학 및 대학원 학장 및 11곳에 분교를 설립
1983-1986 Nyack College and Alliance Theological Seminary Visiting Professor
1981-1985 뉴욕 연합신학대학 교수 및 대학원장
1979-1990 뉴욕 장로회신학교, 미주 장로회신학대학 교수
1971-1972 하나님의 성회 오순절 신학교(김포 소재) 강사
1979-현재 뉴욕신학대학 및 대학원 교수
1969-1972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교)강사
1967-1968 부산신학교 강사
1965-1969 한국신학대학(현 한신대학교)강사
1964-1972 대한성공회 성 미가엘 신학원(현 성공회대학교)강사
학회 활동
1978-현재 미국 성서고고학회
1974-현재 미국 성서학회(Th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986-현재 뉴욕 성서학회(고 이희철 목사와 공동 설립) 회장
1966-1972 임마누엘 구약학회(지도교수 문익환) 총무
신학 특별 강연
1976-1981 뉴욕 월요 목회자 연수회에서”헬라어, 마가복음, 요한복음” 원서 강독
1983.6 뉴욕 크리스챤 아카데미에서 “예수의 비유와 설교” 특강
1985.3 시카코” 한미 목회연구원”에서 “부활신앙의 형성과 발전” 특강
1986.2 “이민신학 정립을 위한 가나안 정복의 새 양태” 뉴욕: 대뉴지구 한인교회협의회
1986.8 프린스톤신학교와(한국) 장로회 신학대학 합동 목회자 연구원에서 “빌립보서” 특강
1988.5 “지혜로운 자녀양육” 뉴욕: 대뉴욕지구 한인교협의회
1993.12 필리핀 Manila “The World Mission Collage”에서 “마태복음 연구” 특강
1994.7 제21회 크리스챤 문학 집필자 세미나에서 신석환 작품”신 웨스트사이드 스토리”와 꺄뮤의”페스트”와 비교 “좌절된 초월의 꿈” 논평
1995.11 Africa, togo에서 “구약성서 신명과 신학의 발전” 특강
1996.7 뉴욕찬양원 교사 강습회”교사의 자질과 향상” 특강
1997.4 뉴욕횃불회 특강”기도합시다”(6회)
1997.10 New York Trinity Collage에서 “구약의 여성신학” 특강
1997.10-1998.1 미주기독교방송국 통신대학에서”마태복음” 방송 강의
1998.10 서울 찬양신학대학 및 전주 목사회”사징적 세계의 구축을 위한 과계” 특강
1998.11 필리핀 Manila, 바울선교회 선교사 수련회에서 “바울선교의 형태” 특강
1998.11 필리핀 General Santos에서 “마태복음 연구”와 “기도합시다” 특강
1999.3 India, New Delhi, 바울선교회 선교훈련원에서 “바울선교의 형태” 특강
2000.4 Rochester, NY에서 “예레미야의 예언과 생애” 특강
2000.6 Ecuador, Coca에서 “기도합시다” 특강
2001.4 뉴욕신학대학 가족수양회에서 “예수의 ‘아바 아버지’와 예레미야의 ‘나의 아버지’” 특강을 비롯하여 “예수와 예레미야의 관계” 2003년4월까지 4회 특강
2004.2 뉴욕 크리스챤 문학가 협회에서 “성서의 문학적 해석” 특강
2004.4 뉴욕신학대학 가족수양회에서 “나의 신학교육 40년” 9월에 특강
2004.9 서울 “총신 신학연구원”과 “세계 목회 연구원”에서 “말라기의 예언 연구” 특강
2004.11 뉴욕 기독교민 신문에 “사해사본 해설” 연재
논문과 저서
[하박국 예언서 주석] 서울: 한마음세계 선교회 출판부, 2018[언약법 연구] 서울: 한마음세계 선교회 출판부, 2011
“요나 예언서의 선교신학적 주석” 인쇄중
[십계명 연구] 서울: 한마음세계 선교회 출판부, 2011,(607면)
“기도합시다”(영문), 제1권 신명의 신학, 제2권 기도의 사회학, 제3권 하나님과 인간의 인간의 대화의 드라마.
[말라기 예언서 주석] 서울: 한마음세게 선교회 출판부, 2010,(560쪽)
[에스겔의 예언과 신학연구] 서울: 한마음세게 선교회 출판부, 2007,(1392면)
[바울의 복음](집필중), 성서주석 고린도 전서(집필중)
기타 신학교 교재: ”예수의 기적” “신약성서 헬라어”, “성지순례”, “예레미야의 생애와 예언연구”, “마태복음 연구”, “마태복음 학습교재”, “성서의 문학적 연구방법” 등 다수
[그의 나라와 그의 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843면)
[권오현의 시편탐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766면)
[목회서신주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600면)
[공동서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703면)
“자식이 아비에게 함 같이-빌립보서 2:19-24”, [성경연구] 1999, 5월호,pp.11-29
“마태복음에 나타난 “의”의 신학적 의의”,
[지구화시대의 한국신학](김달수 목사 회갑기념논문집), 서울: 도서출판 한빛, 1997, pp.15-73
“생명의 면류관을 얻는 지혜”,
[하나님을 위하여, 나라를 위하여, 민족을 위하여](유영소 목사 고희기념문집), 대전: 한국기독교장로회 새밭교회, 1997. Pp.248-285.
[바울의 생애(상,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1028면)
[바울의 편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6(766면)
[예수의 산상수훈] [호세아서의 연구] [빌립보서 연구] [사도행전 연구] [천년을 바라보며](설교집), 뉴욕: 부르크린 제일교회 출판부, 1981-1986.
“하늘 문을 열어 보이신 환상” 디아스포라, No, 58(1988.9-10화)pp.19-24.
“호세아의 결혼과 예언”, 만계 조선출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5. Pp. 7-50
“안식일과 주일”, 성서신학과 선교, 만수 김정준 목사 회갑기념논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4.pp. 54-113
[인간과 종교] 대한민국 해군군종감실, 1972.
[인격교육] 대한민국 해군군종감실, 1971.
“구약성서 외경 연구의 의의” 군종 서울: 대한민국 해군군종감시, 1967.
저서 모음
“십계명 연구” 대한기독교 서회, 2011

“기도합시다, 제1권 신명의 신학”
본서는 시편 외에 산문에 나타난 기도들을 연구한다. 기도는 창세기로부터 요한 계시록에 이르기까지 하나님과 대화하고 교통하는 가장 중심적인 방편이다. 산문에 나타난 기도는 기도드리는 역사적 배경과 하나나님의 응답이 역사에 구현되므로 기도를 드리는 것을 잘 알수 있다. 기도는 문학적으로 아주 간략하게 하나님을 부르는 호신 기도 그리고 하나님의 응답으로 구성된다. “제1권 신명의 신학”에서는 족장들의 ‘전능하신 하나님’ 모세의 ‘야웨’ 다윗을 대표하는 왕국시대에 ‘ 만군의 야웨’ 포로기의 ‘하늘의 하나님’ 예수의 ‘아버지’ 하나님 등 하나님의 신명에 나타난 신학을 연구한다.
“기도합시다 제2권 기도의 사회학”

“기도합시다 제3권 하나님과 인간의 대화의 드라마”
성경에는 하나님께 무엇을 간구하는 기도외에 하나님과 대화하는 기도들이 있다. 이중에서 다른 사람을 위해서 대신 기도하는 중재기도 하나님께 항의하는 기도, 자기 자신의 죄를 참회하는 고백등은 우리에게 익숙하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기도를 들어 주셨기 때문에 감사하는 기도와 찬송이나, 또는 축복하는 기도도 있다. 중재기도에는 아브라함, 모세, 예수의 대제사장 기도; 예레미야, 욥, 하박국은 하나님께 항의하는 기도를 드렸고; 포로후기의 에스라, 다니엘은 이스라엘의 죄를 참회하는 기도를 드린다. 출애굽기 15장의 모세의 노래는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부르짖는 기도를 들으시고 출애굽의 구속을 감사하고 기도를 드린다.
“언약법 연구” 대한기독교 서회, 2010

“말라기 예언서 주석” 대한기독교 서회, 2008

“에스겔의 예언과 신학 연구 1,2,3권 대한기독교 서회, 2007
에스겔서는 구약성서 가운데서 가장 무시 받거나 오해받는 책 중 하나로 . 그러나 에스겔은 구약성서의 요한 칼빈으로 불리며 그의 심판의 예언은 너무도 철저하고, 회복의 예언은 급작스럽기까지 하며, 하나님의 영광의 신학은 너무나도 심오하다. 예언자 에스겔의 신학적 입장과 선포는 구약성서의 신학적 발전과 닿아 있고, 역사적으로는 유대교의 종교현상과 기독교의 복음 해석에 중요하고도 중심인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에스겔의 예언과 신학을 어떻게 부활시키고 재건하여 새로운 신학을 수립할 수 있는지를 논증한다. 저자는 이 에스겔서를 붙들고 수십년을 씨름하였으며, 이 책은 그 연구의 결정판으로서 방대하고 깊이 있는 자료를 통해 에스겔서를 거의 완전 해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에스겔 골짜기의 마른 뼈들이 모아지고 힘줄과 살과 가죽을 덮어 하나님의 영으로 다시 살아나듯, 한국 교회와 사회가 하나님의 생기와 영으로 다시 살고 새로운 한국 역사가 건설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의 신학적 특성이나 중요성은 거의 인정받지 못하는 형편이다.
그의 신학적 특성이나 중요성은 거의 인정받지 못하는 형편이다.
“그의 나라와 그의 의” 대한기독교 서회, 2005

[바울의 생애(상,하)]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1028면)
[바울의 편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6(766면)
[권오현의 시편탐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766면)
[목회서신주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600면)
[공동서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703면)